본문 바로가기
  • 디자이너의 시선으로 소소한 이야기를 기록합니다.
팁/AI

온디바이스 AI가 뜨는 이유와 초거대 AI 차이점, 2025 전망까지

by W디자이너 2025. 3. 11.

 

최근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가 스마트폰, IoT, 자동차 등에서 주목받고 있죠. 반면, ChatGPT 같은 초거대 AI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여전히 강력한 존재감을 뽐내고 있어요. 그럼 온디바이스 AI는 뭐가 다르고, 왜 2025년에 이렇게 화제일까요? 오늘은 두 기술의 차이점, 온디바이스 AI가 뜨는 이유,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까지 자세히 알아볼게요.

 

 

썸네일 이미지

목차

     

     

    구분선

    초거대 AI와 온디바이스 AI, 차이점은?

    초거대 AI란? (Cloud-Based AI)

    초거대 AI : Chat GPT, Grok 3, deepseek

    초거대 AI는 GPT-4, LLaMA 같은 대규모 모델로, 수백억 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버에서 작동해요. 질문하면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고, 처리 후 답이 돌아오죠. 강력한 성능으로 언어 이해, 이미지 생성 등 복잡한 작업에 최적화됐지만, 서버 비용과 전력 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있어요.

     

    온디바이스 AI란? (Device-Local AI)

    반면 온디바이스 AI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스피커 같은 기기에서 직접 작동하는 AI예요. 모델 크기는 수백만~수천만 파라미터로 작고, 클라우드 없이도 실시간 처리 가능하죠. 예를 들어, 갤럭시의 빅스비가 사진 속 강아지를 기기 내에서 찾아주는 식이에요.

     

     

     

    구분선

    온디바이스 AI가 주목받는 3가지 이유

    1. 속도: 클라우드 없이 빠른 처리

    온디바이스 AI는 인터넷 연결 없이도 작동해 반응 속도가 빠르고,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끄떡없어요. 2025년 5G가 보편화됐어도 네트워크 불안정 지역에선 큰 장점이죠. 초거대 AI의 느린 응답과 달리 즉각적인 피드백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딱이에요.

     

    2. 보안: 데이터 유출 걱정 줄여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해진 요즘, 온디바이스 AI는 데이터를 기기 밖으로 보내지 않아 해킹 위험이 적어요. 구글의 ‘페더레이티드 러닝’처럼 기기 내 학습 기술이 대표적이죠. 2024년 딥페이크 사건 이후 보안 강점이 더 돋보이고 있어요.

     

    3. 비용: 효율성의 승자

    초거대 AI는 연간 수백만 달러의 서버 비용이 필요하지만, 온디바이스 AI는 기존 하드웨어로 충분해 비용 효율적이에요. 기업과 소비자 모두 부담이 줄어드는 셈이죠. 아마존도 소형 AI 개발에 뛰어들며 이 트렌드를 증명하고 있답니다.

     

     

     

    구분선

    한국의 온디바이스 AI 현황

    삼성 갤럭시 AI

    한국에서도 온디바이스 AI 열풍이 거세요. 삼성은 2024년 갤럭시 S25에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강화했고, SKT는 IoT용 소형 AI에 투자 중이에요. 네이버 재팬의 ‘라인’도 기기 내 음성 인식과 번역으로 호평받고 있죠. 반도체 강국인 한국(삼성·하이닉스)의 기술력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있어요.

     

     

     

    구분선

    초거대 AI는 끝물? 공존의 시대

    초거대 AI가 복잡한 작업에서 여전히 강점이 있지만, 일상적인 기능(음성 비서, 사진 편집 등)에서는 온디바이스 AI가 더 적합해요. 2025년엔 두 기술이 각자의 영역에서 공존하며 발전할 가능성이 큽니다.

     

     

     

    구분선

    2025년 이후 온디바이스 AI 전망

    온디바이스 AI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2025년 3월 기준 전문가 전망을 모아봤어요.

    • IoT 확장: 스마트홈, 웨어러블, 자율주행차에서 활용도가 커져요. 테슬라의 차량 내 AI처럼 실시간 분석이 가능해질 거예요.
    • 기술 진화: 모델 압축 기술로 더 작은 칩에서도 강력한 성능을 내며, 2026년 시장이 2배 성장할 전망이에요.
    • 개인화: 사용자 데이터를 기기 내에서 분석해 맞춤형 서비스(배터리 관리, 앱 추천 등)를 제공할 가능성 높아요.
    • 한국의 기회: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결합으로 K-온디바이스 AI가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지도요.

     

     

     

    구분선

    온디바이스 AI의 미래를 기대하며

    온디바이스 AI는 속도, 보안, 비용 효율성으로 우리 삶에 깊이 들어오고 있어요. 초거대 AI가 “AI의 두뇌”라면, 온디바이스 AI는 “AI의 손과 발”로 자리 잡았죠. 앞으로 IoT와 개인화된 경험을 통해 더 똑똑한 세상을 열어갈 기술이에요.

     

    갤럭시와 마찬가지로 애플의 아이폰 16도 온디바이스 AI를 위해 A18 칩과 애플 인텔리전스를 중심으로 설계된 첫 모델이에요. 시리, 카메라, 텍스트 작업 등에서 기기 내 처리로 속도와 보안을 높이고, 클라우드 의존도를 줄인 점이 특징이죠.

     

    스마트폰이 점점 더 발전하면 온디바이스 AI의 진가가 드러날 거예요. 

     

     

     


     

     

    그록3(Grok 3)를 PC와 모바일에서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

    2025년 2월 기준, xAI의 최신 AI 그록3(Grok 3)가 무료로 제공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PC와 모바일에서 그록3를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두면 누구나 쉽게 이 강력한 AI를 이용

    wdesigner.tistory.com

     

     

    그록3(Grok3) vs ChatGPT vs DeepSeek 2025년 AI 모델 비교 분석

    2025년 2월 기준, AI 기술 경쟁이 뜨겁습니다. 일론머스크의 AI, xAI의 그록3(Grok 3)가 최근 이슈로 떠오르면서, OpenAI의 ChatGPT와 중국의 DeepSeek와 비교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세 모델의 특징, 성능

    wdesigner.tistory.com

     

     

    AI 번역기 DeepL이 네이버 파파고와 구글 번역기보다 뛰어나고?

    요즘 독일에서 개발한 DeepL(딥엘) 번역기가 국내에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한국 유저도 빠르게 늘고 있다고 합니다. 저 또한 DeepL 번역기를 알기 전에는 네이버의 파파고와 구글 번역기를 사용했

    wdesigner.tistory.com

     

     

    AI 국제 영화제 2관왕, 원 모어 펌킨 보기

    최근 원 모어 펌킨(One More Pumpkin)라는 영화가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두바이 AI 국제 영화제에서 대상, 관객상 2개 상을 받은 영화로 자랑스러운 한국 영화 감독인 권한슬 감독의 작품입니다. 그

    wdesigner.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