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살아가면서 많은 선택을 하면서 살아갑니다. 무엇이 정답인지 모르거나 두려움 때문에 선택을 망설이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무엇이 정답인지 모르기 때문에 생기는 두려움이겠죠.
어쩌면 '선택'에 대한 '정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과론적으로 바라본다면 '선택'에 대한 '정답'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해당 '선택'으로 다른 결과가 발생할지도 모르고 '정답'이라고 생각했던 '선택'이 더 먼 미래에서는 '정답'이 아닐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려움으로 선택, 도전을 망설이는 분들에게 용기를 얻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저 또한 최근에 용기를 내어서 선택 및 도전을 해야 하는 상황이 있었습니다. 내가 생각하는 미래를 위한 선택이지만 '정답'이 아닐 수 있고 '위험'과 '실패'가 기다리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가 꿈꾸는 미래를 위해서는 선택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용기가 나지 않았습니다.
자존심은 있어서 객기를 부리면서 살아왔지만 정작 진정한 용기는 부족한 것 같습니다. 그러다가 '타이탄의 도구들'에서 용기를 내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2장의 '03 강력한 행동을 끌어내는 7가지 질문'이라는 챕터였습니다. 해당 챕터에서는 4가지 섹션으로 강력한 행동을 끌어내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4가지 섹션
- 최악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라
- 리스크가 아니라 가능성을 선택하라
- 강력한 행동을 끌어내는 Q&A
- 강한 사람은 미리 연습한다
'리스크가 아니라 가능성을 선택하라'라는 섹션에서 나의 선택에 대한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의 선택이 내가 꿈꾸는 미래로 다가가기 위한 가능성을 높여 줄 선택이라는 용기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선택을 위한 리스크 관리는 '최악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라'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나의 선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최악의 상황이 발생했을 때, '나는 감당할 수 있느냐'입니다. 이렇게 최악의 상황을 정의하면 막연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명확한 문제가 드러납니다. 만약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내가 감당하고 해결할 수 있다면 막연한 두려움은 사라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최악의 상황'을 정의하기 힘들다면 '강력한 행동을 끌어내는 Q&A'의 질문에 답하면서 최악의 상황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최악의 상황'이 정의되었다면 '강한 사람은 미리 연습한다'라는 섹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그런 상황을 미리 감당하고 극복하는 연습을 진행하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지금 누르고 있는 환경을 포기하는 연습입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마음에 와닿는 문구는 매일 두려운 일을 하나씩 하겠다고 다짐하라 입니다. 용기도 타고나는 것이 아닌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타이탄의 도구들:1만 시간의 법칙을 깬 거인들의 61가지 전략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팁/아이폰, 아이패드] - 아이폰 자동 통화 녹음 방법(에이닷 어플)
아이폰 자동 통화 녹음 방법(에이닷 어플)
아이폰 최대 단점 중 하나인 통화 녹음이 가능해졌어요. 바로 SKT 텔레콤에서 선보이는 에이닷(A.) 어플의 통화 녹음 업데이트를 통해서 통화 녹음이 가능해요. 또한 통화 녹음뿐만 아니라 통화
wdesigner.tistory.com
[앱 리뷰] - 어카운트인포(계좌통합관리서비스)로 숨은 계좌, 내돈 찾기
어카운트인포(계좌통합관리서비스)로 숨은 계좌, 내돈 찾기
현재 내 계좌가 몇 개이고 카드가 몇 개인지 아시나요? 저 또한 주로 사용하고 있는 2~3개밖에 모르고 있어요. 그런데 나의 모든 계좌, 카드, 포인트, 증권, 보험금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서
wdesigner.tistory.com
[앱 리뷰] - 매일 10분, 영어 공부 습관을 만들어주는 앱 추천
매일 10분, 영어 공부 습관을 만들어주는 앱 추천
새해를 맞이해서 다이어트, 독서, 영어 공부 등 자기 계발을 위한 목표를 잡습니다. 그러나 작심 삼일로 끝날 때가 많습니다. 의욕과 열정은 높지만 매일 꾸준히 실행한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
wdesigner.tistory.com